배터리 교환방식, 전기차 활성화 촉매로 `급부상`

 전기차의 배터리 교환 방식이 국내 전기차 보급에도 기폭제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기차는 급속충전이라해도 충전시간이 최소 30분이상 걸리지만 배터리 교환할 경우 2∼3분내로 처리할 수 있어 기존 주유소 이용시간과 비슷한 시간이 소요된다.

 17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의 배터리를 교환하는 ‘베터플레이스’ 방식이 전기차 보급과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도 연내에 배터리 교환방식에 대한 기술성과 경제성을 검토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교환방식은 베터플레이스란 미국 실리콘 밸리의 한 회사가 제안, 르노 닛산과 제휴해 개발한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임대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베터플레이스의 전기차 프로젝트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싼 가격이나 무상으로 공급하는 대신 전기를 판매해 수익을 내는 사업 모델이다.

 양사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퀵 드롭’ 시스템까지 갖춰 이스라엘과 덴마크에 시범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한 닛산의 전기차 ‘리프’와 르노의 플루언스 Z.E에 배터플레이스의 배터리 교환방식을 채택했고, 일본 요코하마에도 최근 이 배터리를 쓸 수 있는 충전소가 설치됐다.

 르노닛산과 베터플레이스 연합은 지난해 5월까지 이스라엘을 포함한 60개 국가 및 도시와 파트너십을 맺고 이를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국내에서도 아직 초기 단계지만 배터리 교환방식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모두 내용을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의 급속한 확산을 위해서는 충전 등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야 하는데 이의 확산에 배터리 교환방식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대차도 배터리 교환방식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며 “택시나 버스 등 대중 교통 등에서 먼저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장 적극적으로 배터리 교환방식을 요구하는 곳은 중소 전기차 개발 업체다. 중소업체에도 전기차 확산의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1000만원대 보급형 전기차 개발을 주도하겠다고 나선 전기차산업협회는 배터리 교환방식이 마련되면 중소 업체가 연합해 전기차 양산과 확산을 주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배터리 교환방식이 자리잡기 위해선 배터리 표준화와 자동차 표준화 등 넘어야할 과정이 적지 않다.

 서울대 지능형자동차연구센터 서승우 교수는 “배터리 교환방식은 친환경 전기차 확산에 매력적인 방법임은 분명하다”면서도 “표준화된 자동차와 배터리 설계에서 많은 비용이 드는데다 금융지원 등 보조가 없이는 시스템이 정착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도 배터리 교환방식에 대한 제도적 타당성과 경제성을 연내 검토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배터리 교환방식은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어려움에다 경제성이 있는지도 정확히 검토해봐야 한다”며 “택시나 버스 등 정형화된 대중교통에서는 우선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