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크센터 1호점, 직접 이용해보니…

3일 오전 9시 서울 도봉구청 6층 스마트워크센터 입구 안내 데스크에는 아침부터 사람들로 붐볐다. 센터 이용객과 별도로 이날 공식 개소식을 준비하는 공무원들이 여러 명 출동했기 때문이다.

“예약하셨나요?” 안내데스크 직원이 대뜸 물었다. 센터를 이용하려면 인터넷 사전예약이 필수다. 안내데스크에서 예약을 확인하자 센터 왼쪽 방으로 안내했다. 공무원들의 업무공간과 분리된 민간인 업무 공간이다.

기자의 자리는 2번. 노트북PC와 인터넷을 연결하자 후배 기자들이 기다렸다는 듯 메신저로 이야기를 걸어왔다. 오늘 취재할 기사의 방향을 놓고 메신저로 의견을 주고받는 동안 회사 데스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내일자로 준비한 기획면과 관련된 스트레이트 기사를 추가로 준비하라는 것이었다.

전자신문 기자입력기 시스템 접속을 위해 사설가상망(VPN)에 접속했다. 데스크가 정리한 오늘 기사 출고계획이 한눈에 들어왔다. 이래저래 처리할 일들이 적지 않았다. 마음이 좀 바빠졌다. 책상 앞 전화기를 들고 후배 기자들에게 업무 지시를 내렸다. 출입처 관계자들의 전화를 받기도 하고, 기사를 작성하다 보니 어느새 바쁜 일상 업무에 빠져들었다. 이곳이 스마트워크센터라는 사실은 가끔 고개를 들 때 언뜻 보이는 창밖 풍광 때문에 새삼 깨닫곤 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스마트워크센터 1호점인 `도봉구청 스마트워크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센터에는 기자가 경험한 민간인을 위한 좌석 4개와 공무원 전용 좌석 20개가 마련됐다.

보안을 위해 공무원과 민간인의 업무 공간을 분리했다. 이날 센터에는 행안부뿐만 아니라 식약청, 경기도 등의 공무원들도 눈에 띄었다. 행안부는 연말까지 센터를 시범 운영하면서 9개 공공기관과 3개 민간기관이 참여토록 했다.

비교적 오픈된 민간 업무공간과 달리 공무원 업무공간은 보안이 철저하다. 안내데스크에서 예약을 확인해도 손혈관 출입통제시스템을 통해 본인인증을 거쳐야 입장이 가능하다.

업무공간은 완전 개방된 좌석, 반 밀폐, 완전 밀폐 등 3가지 좌석이 있다. 완전 밀폐형 좌석은 불투명 유리가 사방을 막아 개인사무실과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

이날 처음 센터를 찾은 신혜라 행안부 사무관은 “서버기반컴퓨팅(SBC) 방식으로 각 부처별 업무망 서버에 접속해 마치 광화문 정부청사와 똑같은 업무용 컴퓨팅 환경을 사용할 수 있다”며 “데이터가 정부부처 각 서버에 저장되니 정보유출 문제도 안심해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도봉구청 인근에 사는 정나현 예금보험공사 계장은 “그동안 출퇴근에 하루 3시간을 허비했는데 걸어서 10분만에 출근할 수 있으니 앞으로 아이들과 퇴근 후 중랑천 공원을 산책할 시간도 생기게 됐다”고 소개했다.

업무공간 한켠에는 영상회의실과 개인사물함도 마련됐다. 이날 오후 개소식에 참여한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즉석에서 영상회의시스템으로 광화문 청사에 있는 신영숙 정보문화과장으로부터 `장애인 IT보조기기 수기 공모전`과 관련한 보고를 받기도 했다. 맹 장관은 “(영상보고가) 처음이라 좀 어색하지만, 익숙해지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한 뒤 “앞으로 장애인 웹접근성을 제고하는데도 노력해달라”고 지시했다.

행안부는 이날 도봉구청과 함께 분당 KT지사에 마련된 스마트워크센터도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강유민 행안부 유비쿼터스기획 과장은 “연말까지 시범서비스를 통해 불편한 점을 조금씩 개선할 계획”이라며 “정상운영이 되면 더 많은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에 문호를 개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상 서비스가 시작되는 내년부터는 센터 이용시 소정의 이용료도 받을 계획이다. 행안부는 2012년에는 스마트워크센터를 12개, 2015년까지는 공공 50개, 민간 450개로 대폭 늘려 공공과 민간의 일하는 방식을 일대 혁신할 방침이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