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디지털국토엑스포] 기고 - 서명교 국토정보정책관-스마트 공간정보산업의 미래 비전

[2010 디지털국토엑스포] 기고 - 서명교 국토정보정책관-스마트 공간정보산업의 미래 비전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스마트폰은 우리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공간정보와 스마트폰의 결합은 엄청난 시너지를 낳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중 절반 이상이 공간정보를 활용하고 있고, 2013년이 되면 80% 이상이 공간정보를 활용하게 될 것이라는 통계도 있다.

이미 교통이나 행정, 시설물 관리 등의 부문에서는 공간정보를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다. 많은 중앙부처와 지자체에서 버스정보시스템(BIS) 등 공간정보와 교통정보를 결합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고 부동산정보, 보건의료 및 복지, 방범 · 방재, 농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개인 차원에서도 자동차 내비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들이 거의 없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공간정보산업의 규모는 2008년 60조원대에서 오는 2015년에는 452조원으로 성장한다고 한다. 연평균 40%에 육박하는 놀라운 성장률이다. 어떤 산업군보다도 높은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세계 굴지의 기업들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검색기업인 구글은 검색의 영역을 웹에서 현실로 확대하려고 한다. 그들은 2004년 인공위성 `키홀`을 사들여 `구글어스` 서비스를 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이 대열에 참여했다. MS는 2009년 구글어스보다도 기능이 강화된 `빙 맵스(Bing Maps)`를 론칭했다. 세계 제1위 휴대폰 생산업체인 노키아도 지난 2007년 세계 최대 내비게이션 업체인 나브텍(Navteq)을 인수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공간정보산업은 이런 세계적 기업들에 비하면 규모가 매우 작다. 200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공간정보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3%에 불과하다. 공간정보산업과 같은 정보화산업은 선점 효과가 대단하다. 승자독식(winner takes all)의 세계인 것이다.

과거 MS가 컴퓨터 운용체계를 제패한 것처럼 초기경쟁에서 탈락하면 따라잡기 쉽지 않다. 다행히 공간정보산업은 아직 초기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제라도 국가적으로 산업계, 학계, 연구원, 관계의 이해당사자가 함께 모여 국가공간정보산업의 전략과 비전을 세우고 뛰어야 할 때다.

정부는 공간정보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미래 대한민국의 캐시카우(cash cow)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3가지 중요한 과제에 집중하려고 한다.

첫째는 정부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구축한 고품질의 공간정보를 민간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통 · 공급구조를 혁신하는 것이다. 민간의 창의성을 도입해 첨단 IT와 공간정보를 융 · 복합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둘째는 이제까지 각각의 기관에서 별개의 목적으로 구축돼 왔던 공간정보와 운용시스템 등의 표준화다. 표준화가 이뤄지면 공간정보 간의 자유로운 이동과 활용이 극대화될 것이다.

마지막은 `사이버 영토`를 선점하는 것이다. 지금 각국과 글로벌 기업은 앞다퉈 3D 공간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미국 오바마 정부는 연방공간정보위원회(FGDC)를 중심으로 Open API 형태의 공간정보 플랫폼 현대화 로드맵에 착수했다.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선진국도 이와 유사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공간정보산업 육성을 위한 3가지 과제를 일거에 해소하는 방안으로 국토해양부는 지난 7월 20일 `3차원 사이버 맵 플랫폼`의 구축과 유통구조의 혁신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정책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 보고한 바 있다.

공간정보산업은 아이디어와 기술만 있으면 언제든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사회의 가장 큰 근심인 청년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신성장동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공간정보산업 육성에 우리 모두의 역량과 지혜를 모아야 하는 이유다.

서명교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 smk200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