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이후 나노 전문기업 창업 ‘주춤’

국내 나노기업 창업이 지난 2005년 이후 주춤하면서 융합산업 기반인 나노 기술에 대한 입지 약화가 우려된다.

나노 분야의 사업화가 그만큼 어렵다는 반증이지만 선진국들이 나노 기술 집중 육성을 통해 후발국가와의 기술 격차를 벌이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도 보다 세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광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나노기업의 실태 및 특성’ 자료에 따르면 총 400∼450개에 이르는 국내 나노기업 가운데 2005년 이후 창업한 기업 비율은 전체 나노 기업의 12.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사업을 활발히 찾던 94년 이전에 창업된 기업 비중이 37.9%, 정부 벤처 정책이 활발했던 2000∼2004년 동안 창업된 기업 비중이 31.6%인 점을 감안하면 최근 들어 나노기업 설립이 크게 위축된 셈이다.

이 연구위원은 “시장의 불확실성과 제품 개발의 높은 리스크 때문에 창업 열기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나노기업의 매출액은 대기업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소폭 느는 데 그쳤다. 대기업은 2006년부터 향후 3년간 35.1% 증가했지만 중소기업은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나노 제품의 적용분야로는 소재, 디스플레이, 반도체 순으로 나타나 부품소재 분야에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노기업의 기술 수준을 조사한 결과, 나노바이오 분야가 세계 선도그룹 수준이라는 응답이 38.9%로 가장 높았다. 나노에너지·환경 분야는 같은 질문에 답한 사람이 전무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신규 창업이 주춤한 것은 초창기 막연한 기대감이나 정부지원에 의존하는 경향에서 탈피, 본격적인 시장 경쟁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정부의 역할이 이제 창업지원보다는 우호적 시장환경 조성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혁신성이 높지만 취약한 나노기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상록 나노융합산업융합조합 상무는 “최근 나노분야에 중소벤처 창업이 드문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반면 러시아·일본·미국 등은 이 분야의 창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사업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만큼 정부도 고민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