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GAME] (2부-­3)올라프 볼터스 BIU 대표

[POST GAME] (2부-­3)올라프 볼터스 BIU 대표

 “일부 정치인들이 게임시간을 제한하는 셧다운제를 주장했지만 대중적인 공감을 얻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권한을 민간에 위임하고 기업과 이용자들은 스스로 정한 원칙을 철저히 따르고 있는데 오히려 불필요한 규제라는 것이죠.”

 베를린에서 만난 양방향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BIU) 올라프 볼터스 대표는 정부의 확고한 자율 원칙과 업계의 치열한 노력이 결합돼 게임 자율규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독일은 유럽에서 민간 자율규제가 가장 잘 이뤄지고 있는 국가로 꼽힌다. 게임 분야도 마찬가지. 지난 2005년 강력한 청소년보호법을 발효하면서 게임에 연령 등급을 표시하도록 결정했지만 정부가 등급 부여기관을 별도로 만들거나 지정하지 않았다. 민간 게임협회인 BIU에 전적으로 일임해 자율규제를 유도한 점이 눈에 띈다. 권한을 위암받은 BIU는 94년 자체 발족한 USK에 등급심의 역할을 부여키로 하고 지금까지 자율심의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USK 대표를 겸임하고 있는 볼터스 대표는 “정부는 USK의 전문성과 경험을 존중하고 기업은 USK의 기준을 철저하게 따른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두 단체 수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등급제를 어기는 기업을 본 적이 없다는 것이 그의 자랑이다. 정책이나 중요 결정에 불만이 있을 경우 법정에서 소송으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독일의 문화적 특성도 있겠지만, 기업들이 스스로 만든 규약을 철저히 존중한다는 뜻이다.

 “기업은 게임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이용자는 게임 이용시 무엇을 조심해야 할 지 알기 때문에 강제적인 규제는 필요가 없다”고 단언했다. 이용자가 게임을 너무 오래할 경우 경고 문구를 노출하는 등 이용자 보호정책을 자발적으로 시행하는 것도 기업의 몫이다.

 독일에서 등급제가 가장 효율적인 자율 규제로 작용할 수 있었던 데는 성숙한 이용자 문화도 바탕이 됐다. 볼터스 대표는 “판매되는 게임 소프트웨어 안에 연령별 이용설명서 등이 있는데 대부분의 부모들이 이를 꼼꼼하게 읽어본다”며 “등급제에 대한 신뢰가 높고 이용자들도 이를 지키며 즐기려고 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정치인들이 주장한 셧다운제가 지지를 얻지 못하고 슬그머니 사라진 것도 이 때문이다. BIU는 등급제 심의 이외에도 이용자 소양교육은 물론 게임 중독이 의심되는 사람들이 전화로 문의할 수 있는 상담소를 마련하는 등의 활동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