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위피` 놓고 `동상이몽`

 KTF는 지난해 4월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를 탑재하지 않은 3세대(G) 휴대폰을 선보였다.
KTF는 지난해 4월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를 탑재하지 않은 3세대(G) 휴대폰을 선보였다.

‘위피는 어디로?’

한국형 이동통신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WIPI)’ 의무화 정책의 존폐를 두고 이동통신 3사의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SK텔레콤과 KTF는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반면 LG텔레콤은 선발 사업자에게 콘텐츠가 집중될 것을 우려해 반대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이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는 글로벌 추세 등을 고려해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업자 자율 vs 고수=SKT와 KTF는 조심스럽게 위피 폐지론에 힘을 싣고 있다. 외산 단말기의 원활한 도입 등을 고려할 때 폐지가 마땅하지만 방통위 및 콘텐츠공급(CP)업체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들 사업자는 외산 단말기 도입 협상을 진행할 때 제조업체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것중 하나가 위피인 만큼 의무화 폐지를 통해 다양한 단말기 도입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이동통신 환경이 오픈 플랫폼으로 가고 있는 만큼 개방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는 설명이다.

애플의 아이폰은 오픈 환경을 구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글에서도 안드로이드라는 플랫폼을 통해 구글폰의 오픈 환경을 지원할 방침이다.

반면 LGT는 위피를 진화시켜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LGT 관계자는 “위피가 사라지면 CP들이 수요가 많은 SKT향으로만 콘텐츠를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 콘텐츠 쏠림 현상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통위, 전면 재검토 방침=이통사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방통위에서는 위피 전면 재검토 방침을 밝히고 있다. 글로벌 추세, 산업계 영향 등을 고려해 위피 의무화 정책을 손보겠다는 것. 위피의 본래 목적이 달성됐는지를 집중적으로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애초에 계획했던 △글로벌 표준으로의 도약 △CP들의 해외진출 △콘텐츠 활성화 등이 달성되지 못한 것으로 밝혀진 만큼 폐지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이란 전망이다. 위피가 하나의 장벽이 되면서 CP의 경쟁력을 오히려 저하시켰던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할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 정완용 통신제도이용과장은 “위피의 탄생부터 지금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검토에 착수했고 위원회 보고를 통해 의무화 정책에 대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황지혜기자 go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