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유지보수율, 희망과 현실 간극 `10%`

 국내 소프트웨어(SW) 업체들은 납품가액 대비 16~17% 선을 적정 유지보수 서비스 요율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시장에서 실제로 적용됐던 유지보수율 대비 최고 10%가량 높은 수치다. 이 자료는 상반기 정부가 내놓을 ‘공공부문 SW 유지보수요율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19일 본지가 단독 입수한 한국전자거래학회의 ‘상용SW 유지보수 대가기준 연구보고서(중간보고)’에 따르면, 발주자와 직접 계약 시 일선 업계가 적정하다고 보는 유지보수 요율은 공공부문이 최소 12.0%, 최대 25.0%로 평균 16.9%였다.

 반면에 지난 2010년도에 이 부문에 실제 적용된 요율은 최저 5.9%, 최고 15.0%로 평균 10.1%에 그쳤다.

 조달청을 통해 계약한 경우에는 최저 4.0%에 머물러, 업계(수주자)가 주장하는 최저 요율(14.0%)과 무려 10%의 차이를 보였다.

 수·발주자 간 직계약과 SI업체를 통한 계약, 조달청을 통한 계약 등 계약형태와 공공·민간 부문 등에 따라 희망 적정요율과 실제 적용요율이 다소 상이하나, 통상 6~8%의 괴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는 게 학회 측 분석이다.

 학회는 지식경제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위탁 용역을 받아, 38개 국내 SW 업체와 52개 SW 제품을 대상으로 지난달 ‘SW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비용 지불 방식’을 조사, 그 결과를 이번 보고서에 담았다.

 보고서는 또 국내 SW업체들의 총매출액 대비 유지보수액 비중이 지난해 17.6%에 그쳐 전년 대비 6.8% 급감했다고 밝혔다. 반면에 주요 다국적 ERP 업체의 경우 유지보수 매출 비중이 40~56%를 차지해 토종 SW업체보다 3배 정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지난 2008년 46.7%에 달하던 국내 패키지 SW기업의 매출총이익률은 지난해 41.2%로 하락했다. 이는 해외 상장 패키지 SW기업의 평균 매출총이익률(76.8%)에 크게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

 이번 조사를 주관한 김우제 한국과학기술대 교수(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는 “SAP는 현재의 유지보수 요율(17%)을 내년부터 22%로 대폭 인상하기로 했으며, 오라클 역시 최근 타결된 정부통합전산센터와의 협상에서 DBMS의 유지보수 요율을 22%로 올리는 데 합의했다”며 “따라서 국내 SW업체의 부담이 가중될 여지가 있는 만큼 ‘유지보수 가이드라인’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달 말까지 ‘유지보수율 적정 모델’을 도출한다. 이 모델에는 원가 분석과 발주자 측 설문결과 등을 통해 분석된 표준 유지보수율과 정액제 방안 등이 담긴다.

 공공부문 SW 유지보수율 가이드라인 등을 골자로 한 지경부의 ‘SW-시스템반도체(SoC) 동반육성 전략안’은 오는 6월께 공식 발표될 전망이다.

 <표> 희망 유지보수율과 실제 적용률 비교<단위: %>

*주: 발주기관과 직접 계약 시 기준

 <자료: 한국전자거래학회>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